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69 (2024)
pp.237~272

DOI : 10.46639/kjds.2024.69.8

明庵 鄭栻의 제갈량 초상 향유 연구

김기완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연구교수.)

본고는 北伐論과 제갈량 초상 담론의 접점을 다루는 작업의 일환으로서, 제갈량 관련 시문을 다수 남긴 작가인 明庵 鄭栻(1683~1746)을 재조명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그 연구 방법으로서 본고에서는 정식의 문집에 보이는 제갈량 관련 주희 시문의 흔적을 추적하고, 그것이 갖는 성격을 송시열, 김수증 등 주요 노론계 문사들과의 사례 비교를 통해 추출해 보았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식이 제갈량 초상과 함께 조성하고 이어 시문으로 문학화한 ‘와룡암’은 송시열과 김수증의 선례와 비교할 때, 교유집단 내에서의 취향 공유와 달리 한층 개인화된 기류를 띤다. 또한 정식 자신의 제갈량 초상 봉안과 숭모가 주희 와룡암 고사에 의거했다는 직접적 언표 역시 송시열 및 김수증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문면에서 줄이는 경향이 있다. 연구 결과 및 기대 효과 면에서 볼 때, 명암 정식의 사례는 관직과 철저하게 거리를 둔 처사형 문인이 송시열의 시대 이후에 서울 외 지방에서 거의 혼자 이루어간 제갈량 影堂의 한 景槪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향후 더욱 주목될 가치가 있다. 즉 對明義理論의 이상에 깊이 침윤되어 있으면서도 제갈량 초상에 담긴 북벌의 메타포를 동시대 지인과 공유하는 경험은 상대적으로 적었던 지방 문인의 일례를 추가할 수 있는 것이다.

Study on the Myeong-am Jung sik’s enjoyment and admiration for a portrait of Zhuge Liang

Kiwan Kim

This article aims to re-illuminate Myeong-am Jung sik(1683-1746) who left many poetry and prose related to Zhuge Liang, as a part of the work dealing with the point of contact between Northern Expeditionary(北伐) and Zhuge Liang’s portrait discussion. As a research method, this paper tracked the traces of Zhu Hui’s poems and writing related to Zhuge Liang, which can be seen in the works of Jung sik, and extracted their characteristics through comparing with major writers such as Song Si-yeol and Kim Soo-jeung.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Wa-ryong-am, which was created by Jeong sik with the portrait of Zhuge Liang and subsequently described into poetry and prose, had a more personalized atmosphere unlike the sharing of tastes within the Song Si-yeol and Kim Soo-jeung group. In addition, compared to Song Si-yeol and Kim Soo-jeung, the direct sign that Jung sik’s own display and admiration for portrait of Zhuge Liang in his house, were officially based on the historical events of Zhu Hui’s War-yong-am, tended to be reduced in writing much more relatively. In terms of research results and expected effects, the case of Jung sik is worth paying more attention in that, because it showed the characteristic the exhibition space including Zhuge Liang’s portrait, which was achieved by recluse style writers who were thoroughly distant from government posts, almost alone, outside Seoul after the era of Song Si-yeol. In other words, it is possible to add an example of a local writer who was deeply immersed in the ideals of the theory of admiration for extinct Ming dynasty, but had relatively little experience sharing the metaphor of Northern Expeditionary in Zhuge Liang’s portrait with his contemporaries.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