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64 (2022)
pp.327~354

DOI : 10.46639/kjds.2022.64.10

동학(東學)의 경계적 성격

최천집

(동국대학교 WISE캠퍼스 교수.)

이 연구는 동학의 성격이 무엇으로 볼 수 있는지에 주목하여 논의를 펼친다. 기존의 연구에서 동학이 중세에서 근대로의 이행에 기여했다든지 봉건과 탈봉건의 요소를 지녔다는 지적에 대해 반성적 고찰을 통해 그 성격을 묶는다면 어떤 핵심어로 할지를 찾는다. 이에서는 동학의 성격으로 경계에 놓여 있다는 점을 중심으로 살핀다. 본고에서 얻는 결과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먼저 가학적 측면에서 경계의 성격이 두드러져 있음을 확인한다. 최제우는 아버지 최옥에게 있었던 학문 자세를 받아들이기는 하지만 그에만 머물지 않고 새로운 차원을 개척하는 데 앞장선다. 이는 조선조 성리학자들이 가학을 물려받아 자기 나름의 학문 세계를 개척하고자 하는 학문활동을 벌였던 가학의 측면에 기대고 있다. 최제우는 가학의 측면에서 전통의 요소와 창발의 요소를 함께 가지고 있어 경계의 성격을 지닌 측면을 보여준다. 가학에서뿐만 아니라 역사에서도 동학은 19세기 말기의 사회 분위기를 따르면서도 새롭게 해나가는 데에도 적극적인 역할을 해낸다. 19세기 조선에 널리 유행했던 농민 항쟁을 따르면서도 직접 농민 항쟁의 새로운 모습도 형성해내는 역할을 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동학은 사상적 측면에서도 경계의 성격을 띠고 있음이 확인된다. 발생에서부터 삼교의 혼합을 중요한 방법으로 활용하여 사상을 구성해내고 있기 때문이다. 삼교 융합이나 혼합은 동학이 가진 경계적 성격을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세계관의 핵심을 이루는 주역의 원리를 받아들이고 있지만 조선 말기의 조선에서 유행하고 주역을 변화시킨 정역의 원리도 사상적 요소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측면을 보여준다. 동학이 가진 경계적 성격은 동학이 미래 사회에서 어떻게 변화하고 적응해 나갈 것인지를 보여준다는 데에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The Borderline Character of Donghak

Cheonjip Choi

This study focuses on what the nature of Donghak can be seen as, and discusses it. Regarding the points made in previous studies that Donghak contributed to the transition from the Middle Ages to the modern age or that it had elements of feudalism and post-feudalism, if we were to categorize its characteristics through reflective consideration, we would find out what key words we categorize. In this article, we focus on the fact that it is placed on the boundary due to the nature of Donghak. The results obtained in this paper include the following. First of all, it is confirmed that the character of the boundary is prominent in the sadistic aspect. Choi Je-woo accepts the academic attitude that his father, Choi-ok had, but does not stay there and takes the lead in pioneering a new dimension. This is based on the aspect of sadism in which Neo-Confucian scholars of the Joseon Dynasty inherited sadism and conducted academic activities to pioneer their own academic world. Choi Je-woo has both the elements of tradition and the elements of emergence in terms of sadism, showing the side with the character of a boundary. Not only in sadism, but also in history, Donghak plays an active role in following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late 19th century and renewing it. It is because it plays a role in directly forming a new aspect of peasant resistance while following the popular peasant resistance in Joseon in the 19th century. Next, it is confirmed that Donghak has the character of a boundary in the ideological aspect as well. This is because they are constructing ideologies by utilizing the mixing of the three religions as an important method from the time of occurrence. The convergence or mixing of the three religions shows the borderline nature of Donghak well. In addition, while accepting the principle of the protagonist, which constitutes the core of the world view, it shows the aspect of actively accepting the principle of the protagonist, which was popular in Joseon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changed the protagonist, as an ideological element. The borderline nature of Donghak has a special meaning in that it shows how Donghak will change and adapt to the future society.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