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61 (2022)
pp.73~99

DOI : 10.46639/kjds.2022.61.3

새로운 생태철학 이론의 정립 가능성에 대한 논의 - 동학·천도교 관점을 중심으로

이상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칼리지 교수)

우리 인류가 해결해야 할 환경과 생태 문제에 대해 부정적 측면에서 본다면 전지구적 차원의 재앙이라고 표현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물론 과학과 테크놀로지의 지나친 발달에 기인한 위험은 그보다 한층 발전된 과학과 테크놀로지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는 낙관론적 관점 역시 존재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지구 환경의 문제에 대한 해결책은 많은 경우 별다른 진전 없이 일시적 미봉책에 머물러 있을 뿐이다. 그러한 결과로 환경과 생태에 대한 낙관적인 관점은 그저 낙관적으로 받아들이기는 어렵다. 심층생태론(Deep Ecology)에서는 지구환경문제를 다루는 이러한 기존의 관점을 ‘표층생태론(Shallow Ecology)’이라고 명명하고 있다. 그리고 그 핵심적 내용은 인간이 자연을 단순한 지배의 대상으로 보았던 점을 비판하고 있다. 심층생태론(Deep Ecology)의 관점에서는 자연지배를 정당화하는 “인간중심주의” 관점의 패러다임 변화를 주장한다. 즉 환경 생태의 문제에 더 깊은(deep) 의문을 제기하고 더 근본적 문제에 직면하기 위해서는 ‘인간중심주의’가 아닌 “생명 중심”으로 그 물음을 확장하고 심화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런 주장을 전제로 하여 이 논문에서는 생태론의 새로운 이론적 정립의 가능성을 동학·천도교 사상 안에서 구상해보았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통해 진행된다. 첫째, 비판의 대상이 되는 현재의 생태론(철학)이 기반하고 있는 ‘인간중심주의’의 문제는 ‘자연지배사상’과의 근친성이 있다는 점을 논의한다. 둘째, 자연지배사상은 결국 ‘서구중심주의(Eurocentrism)’에서 기인하며 그 해결책은 탈서구적 사유 체계 안에서 찾아야 한다는 점을 제시한다. 셋째, 생명 중심의 생태론(철학)적 근거가 동학·천도교 사상 안에서는 어떤 대안적 형태로 자리 잡고 있는가를 고찰해 본다.

Discussion on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New Ecological Theory : focusing on the perspective of Donghak·Chondogyo

Sangim Lee

If we look at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that we humans need to solve from a negative point of view, we will have no choice but to express it as a global disaster. Of course, there is also an optimistic view that the risks caused by the excessiv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can be controlled by more advanced science and technology. In many cases, solutions to the ongoing problems of the global environment remain only a temporary stopgap measure without much progress. As a result, about the environment and ecology is difficult to accept simply as optimistic. In Deep Ecology, this existing view of dealing with global environmental issues is called ‘Shallow Ecology’. And its main point is a critique of man’s view of nature as a mere object of domin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Deep Ecology, it argues for a paradigm shift in the “anthropocentric” perspective that justifies the domination of nature. In other words, they argue that the question needs to be expanded and deepened to be “life - centered” rather than “anthropocentric” in order to raise a deeper question on the problem of environmental ecology and to face more fundamental problems. With this assertion on the premise, in this thesi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 new theory of ecology was thought within the ideas of Donghak and Chondogyo. This study proceeds through the following process. First, it discusses the fact that the problem of ‘anthropocentrism’ on which the current ecological theory, which is the subject of criticism, is based, has an affinity with the ‘ideology of domination of nature’. Second, it suggests that the idea of domination of nature is ultimately derived from ‘logocentrism’ and that the solution must be found within the post - Western system of thought. Third, it examines in what alternative form the life - centered ecological basis can be found in the thought of Donghak·Chondogyo.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