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60 (2021)
pp.341~386

DOI : 10.46639/kjds.2021.60.11

유학의 명명덕과 동학의 명명기덕 차이 考察

박희숙

(전북대학교 철학과 박사수료)

윤철현

(전북대학교 철학과 박사수료)

본 연구는 『대학』의 삼강령중의 하나인 ‘明明德’과 『동경대전』「논학문」의 ‘明明其德’의 차이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동학은 유학이 아님에도 동학의 경전에 사용된 용어가 유학과 비슷하다는 이유로 유학의 용어와 같은 뜻으로 해석되기도 한다. 그 대표적인 사례가 ‘명명기덕’이다. 이 용어는 동학의 경전인 『동경대전』「논학문」에서 수운이 주문해석을 마친 후에 선언적으로 사용한 용어이다. 유학의 ‘명명덕’과 동학의 ‘명명기덕’은 ‘명명’과 ‘덕’ 사이에 지시대명사로 쓰인 ‘기’의 존재 여부에서 알 수 있듯이 그 의미에서 차이가 있음을 예상할 수 있고, 명명덕과 명명기덕은 ‘명덕’을 밝히는 주체와 ‘기덕’을 밝힌 주체가 다르다. 이렇듯 명명덕과 명명기덕은 그 주체와 의미가 서로 다름에도 글자가 비슷하다는 이유로 의미 또한 같다고 여기는 것 같다. 연구 내용은 먼저 유학의 ‘명명덕’에 대해서 회암과 다산의 언설을 살펴봄으로써 그들이 주장하는 명덕의 의미를 심성과 덕행의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에 따른 명명덕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동학의 ‘명명기덕’에 대해서 동학의 시각인 수운, 해월, 의암의 교설을 살펴봄으로써 ‘명명기덕’은 탄생의 덕과 생활의 덕을 주문에 밝게 밝히고 있다는 것에 대해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명명덕’과 ‘명명기덕’은 그 의미와 주체에 있어서 차이가 적지 않기 때문에 ‘본체와 심성작용으로서 차이’, ‘덕행으로서 차이’, ‘명덕 또는 기덕을 밝히는 주체로서 차이’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결론적으로 유학의 ‘명명덕’은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도덕의 측면이라면, 동학의 ‘명명기덕’은 생명체의 탄생과 생명체의 생활 등 생명체 근본을 밝히는 생명도덕의 측면으로 두 용어의 차이가 적지 않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A Consideration of difference between Confucianism`s ‘Myeongmyeongdeok(明明德)’ and Donghak`s ‘Myeongmyeonggideok(明明其德)’

Huisuk Bak

Cheolhyeon Yu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difference between ‘Myeongmyeongdeok(明明德)’, one of the three spells of Daehak, and ‘Myeongmyeonggideok(明明其德)’ of “Nonhagmun” in Donggyeongdaejeon. Even though Donghak is not Confucianism, term of Donghak was sometimes interpreted to the same meaning as the term of Confucianism because the terms used in the scriptures of Donghak were similar to Confucianism. A representative example of this is ‘Myeongmyeonggideok(明明其德)’. This term was used declaratively after Suun completed his interpretation of the spell in Donghak`s scripture, “Nonhagmun” in Donggyeongdaejeon. It can be expect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meaning between Confucianism`s ‘Myeongmyeongdeok(明明德)’ and Donghak`s ‘Myeongmyeonggideok(明明其德)’, as can be seen from the existence of ‘gi(其)’ used as a referential pronoun between ‘Myeongmyeong(明明)’ and ‘deok(德)’. Myeongmyeongdeok(明明德) and Myeongmyung- gideok(明明其德) differ in the subject who reveals ‘Myeongdeok(明德)’ and the subject who reveals ‘gideok(其德)’. As such, they are considered to have the same meaning because of the similarity of the characters, although they differ in their subject and meaning. First, by examining the rhetoric of Hoeam and Dasan on the ‘Myeongmyeongdeok’ of Confucianism, the meaning of Myeongdeok(明德) claimed by them wasexamined in terms of mentality and virtue, and the meaning of Myeongdeok(明德) accordingly. Second, by examining the doctrines of Suun·Haewol·Uiam, the perspective of Donghak, regarding Donghak`s ‘Myeongmyeonggideok(明明其德)’, I looked into that ‘Myungmyunggideok’ brightly illuminates the virtues of Birth and Life in spell. Lastly, since ‘Myeongmyeongdeok’ and ‘Myeongmyunggideok’ differ in their meaning and subject, this study looked at these term dividing them into ‘the difference as the Ontology and the mind conduct’, ‘the difference as virtuous conduct’, and ‘the difference as a subject that reveals the Myeongdeok or gideok’. After all, it can be checked that Confucianism`s ‘Myeongmyeongdeok’ is the aspect of human-human relationship and morality, while Donghak`s ‘Myeongmyeonggideok’ is the aspect of life morality that reveals the fundamentals of living things, such as the Birth of living things and the Life of living things.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