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60 (2021)
pp.225~252

DOI : 10.46639/kjds.2021.60.7

종교사회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1871년 영해사건 연구

박세준

(덕성여자대학교 지식문화연구소 연구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하나의 사건을 두고 다양한 해석이 존재하는 1871년 영해사건에 대해 종교사회학 관점에서 성격을 규정하는 것이다. 영해사건을 종교사회학 관점에서 바라보고자 하는 까닭은 다음과 같다. 첫째, 종교사회학은 종교와 사회의 관계를 연구하기 때문이다. 둘째, 종교사회학은 종교의 사회운동에 대한 연구를 하기 때문이다. 셋째, 종교사회학에서는 종교의 사회변혁 성격을 연구하기 때문이다. 넷째, 종교사회학에서는 종종 비교의 방법론을 사용하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내용은 사회변동과 종교에 대해 독립변수와 종속변수로 나누어 살펴봤다. 첫째 종교가 독립변수일 때다. 종교가 사회변동의 독립변수일 때 종교이데올로기, 지도자, 자원동원에 따라 성패가 나뉜다. 이필제가 주도한 넷 중 영해사건을 제외한 나머지, 진천, 진주, 문경작변은 이 세 요소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영해사건은 종교이데올로기, 지도부, 자원동원 모두 동학이었고, 그 결과는 성공이었다. 둘째, 사회변동의 종속변수일때 영해사건은 동학에 영향을 줬다. 다음으로 동학 교리를 심화했다. 그리고 국가와 관계 맺음을 시작한 계기가 됐다. 이 연구의 결과 1871년 영해사건은 보는 관점에 따라 혁명일 수도 있겠지만 최제우의 신원을 꾀했던 종교신원운동은 아니다. 영해사건은 최소한 사회변혁을 시도했던 변혁운동이고, 동학에 영향을 끼친 종교변혁운동이다. 이 연구의 의의는 한국사 속에서 종교와 사회변혁의 관계를 확인했다는 점과 함께 사회와 종교변혁의 성격으로 영해사건을 규정했다는 점이다.

A Study on YoungHae Incident in 1871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sociology

SeiJoon Park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nature of the 1871 YoungHae incident in which various interpretations exist with one event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sociology. The reasons for looking at YoungHae incident from the perspective of religious sociology are as follows. First, it is because religious sociology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ety. Second, it is because religious sociology studies the social movement of religion. Third, this is because religious sociology studies the nature of religion's social transformation. Fourth, this is because religious sociology often uses the methodology of comparis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s first it is when religion is an independent variable. When religion is an independent variable of social change, success or failure depend on religious ideology, leaders, and resource mobilization. Of the four incidents led by Lee Phil-je, except for the Yeonghae incident, Jincheon, Jinju, and Mungyeong operations did not work properly. On the other hand, YoungHae incident was all Donghak in religious ideology, leadership, and resource mobilization, and the result was success. Second, when it was a dependent variable of social change, YoungHae incident influenced the direction of Donghak's progress. The Donghak doctrine was deepened. And it was an opportunity to start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the state.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1871 YoungHae incident may be a revolution depending on the perspective of view, but it is not a religious movement. The YoungHaeincident is at least a transformation movement that attempted social transformation, and a religious transformation movement that influenced Donghak.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it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social transformation in Korean history, and defined YoungHae incidents as the nature of social and religious transformation.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