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37 (2015)
pp.189~234

강원도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와 동학농민군

이병규

(동학농민혁명기념재단)

1894년 동학농민혁명은 강원도지역에서도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강원도지역에서는 동학농민혁명 1차 봉기 과정에서는 특별한 활동을 보이지 않다가 2차 봉기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또한 강원도지역은 최제우가 1864년 처형된 후 조직을 이어받은 최시형이 근거지로 삼고 동학교단 조직을 재정비한 지역으로서 큰 의미가 있는 지역이다. 지금까지 강원도지역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에 대해 정리된 연구 성과는 거의 없는 형편이다. 또한 강원도지역에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동학농민군들에 대한 연구도 거의 없는 실정이다. 강원도 지역에서 총 13곳의 동학농민혁명 유적지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동학농민혁명사에서 중요한 위치를 가지고 있는 유적지가 상당수 위치하고 있다. 그러나 이에 대한 인식과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앞으로 개선되어야 할 문제이다. 강원도 지역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와 관련하여 우선적으로 안내판설치가 필요하다. 여기에 체계적인 보존 관리를 위해서는 문화재로 지정하는 작업이 진행되어야 하며 학술연구도 보다 심도 있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강원도 지역 동학농민혁명 유적지을 중심으로 답사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강원도 동학농민혁명의 메카로서 강원지역의 동학농민혁명기념관의 설립도 필요한 부분이다. 현재까지 파악된 강원도 지역 동학농민군은 총 76명이다. 지역별로 거의 강원도 전지역에서 동학농민군의 활동이 있었음이 확인된다. 지역별로 보면 강릉 8명, 봉평 12명, 원주 6명, 인제 2명, 양구 1명, 정선 4명, 평창 6명, 홍천 36명, 횡성 1명으로 홍천에서 가장 많은 동학농민군이 확인된다. 이는 홍천을 근거로 차기석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이 홍천을 중심으로 활동하면서 큰 전투를 벌인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앞으로 동학농민혁명 연구는 지역적 관점을 견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동학농민혁명에 참여한 농민군 개개인의 활동 양상을 복원해내는 것이 무엇보다 필요하다.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Site and the Donghak Peasant Army of Gangwondo

Lee-byonggye

The Donghak Farmer’s Revolution actively developed in the Gangwondo region in 1894. There was not much activity apparent in Gangwondo during the first uprising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but it was actively involved in the second uprising. The Gangwondo region holds a special meaning as Choe Sihyeong, who assumed leadership of the organization following the execution of Choe Jaewoo in 1864, established a base and reorganized in the region. To this day, the progress of the organized research on the Donghak Revolution in the region is close to none. Also, there is almost no research on the Donghak Peasant Army who participated in the revolution either. It has been assessed that there are a total of 13 historical sites of the Donghak Peasant Rebellion in the Gangwondo region. Many of these sites held an important role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However, it is also true there isn’t much recognition or management of these sites. It is an issue that must be addressed and fixed in the future. Signboards are needed as the first step in the management of the historical sites of the Donghak Revolution in Gangwondo. For the systematic preservation of the sites, there must be an effort to register the sites as cultural assets, and the academic research must also be strengthened. There is also a need for an exploration program to be developed in the Gangwondo region with the sites of the Peasant Revolution as the core, and a Donghak Peasant Revolution Memorial must also be established, as Gangwondo is the Mecca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urrently, there are 76 confirmed memb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n the Gangwondo region. It has been confirmed that almost the entire region of Gangwondo held Donghak Peasant Army activity. Divided by regions of Gangwondo, Gangneung had 8 members, Bongpyeong 12, Wonju 6, Inje 2, Yangu 1, Jeongsun 4, Pyeongchang 6, Hongchun 36, and Hwengsung 1, showing that Hongchun had the most member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It could be said that this is a result of Cha Giseok of having Hongchun as his base for the activities of the Donghak Peasant Army and fighting a major battle. . In future research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we believe that the research must be carried out with the perspective of the region. More than anything, it is also necessary to restore the appearance of individual activities of those who participated in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the Donghak Peasant Army.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