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72 (2024)
pp.33~105
DOI : 10.46639/kjds.2024.72.2
수운 최제우 ‘사적(史蹟)’ 연구
최제우는 1824년 10월 28일 경주에서 탄생하여 1860년 4월 5일 동학을 창도하고 1864년 3월 10일 41세로 처형됐다. 그가 창도한 동학은 우리 근현대사에 큰 영향을 끼쳤다. 사람이 한울님을 모신 존재라는 ‘시천주’는 인간의 본원적 평등을 추구했다. 그의 사상은 동학농민혁명, 3·1독립운동, 6·10독립운동, 신간회 운동, 일본제국주의 멸망 기원 기도 운동으로 이어졌다. 해방 이후에는 분단 저지를 위한 3·1재현운동으로 실현되었다. 동학의 생명사상은 현대의 환경 생태 문제에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이런 인물의 행적을 정리하는 일은 의미있는 일이다. 지금까지 수운의 사적지 연구는 천도교단과 학계 차원에서 이루어졌다. 교단 차원에서는 창시자인 수운의 사적을 정리하고 이를 통해 천도교단의 신앙심 확립에 기여하고자 했다. 1920년대 김기전, 이돈화, 박래홍 등이 선도적인 역할을 하였고, 해방 이후 표영삼과 성주현이 수운의 사적지 정리에 기여하였다. 학계에서는 동학 연구단체를 중심으로 동학의 사적을 정리했으며, 채길순의 동학 사적 정리, 대학 연구소를 중심으로 동학농민혁명 사적 조사가 있었다. 특히 동학학회에서는 ‘동학의 글로컬리제이션’ 프로젝트를 통해 각 지역의 동학과 동학농민혁명의 사적을 정리하고 있다. 수운의 사적지는 그의 생애를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정리했다. 1기로 탄생과 구도 시기(1824.10.28.~1860.4.4.), 2기로 창교와 포교 시기(1860.4.5.~1863.12.9.), 3기로 수난과 순도 시기(1863.12.10.~1864.3.10.)로 구분했다. 1기의 사적으로는 탄생지인 ‘가정리’, 첫 종교체험을 한 ‘여시바위골’, 득도 이전 기도처인 ‘내원사’와 ‘적멸굴’이 있으며, 2기 시기 사적으로는 득도지인 ‘용담정’, 경전을 저술한 ‘은적암’, 접주제를 시행한 ‘매곡동’이 대표적이다. 3기 사적으로는 수감되었던 ‘경상감영’과 처형터인 ‘대구장대’, 죽은 후의 신비체험이 있었던 ‘후연점’, 그리고 수운의 묘인 ‘태묘’ 등이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동학의 인물과 사적에 관한 연구가 이어지기를 희망한다.
A Study on the Historical Site of Su-un Choi Je-woo
Choi Je-woo was born in Gyeongju on October 28, 1824, founded Donghak on April 5, 1860, and was executed on March 10, 1864 at the age of 41. The school he founded has had a great influence on our modern history. ‘Sicheonju’, which is the existence of man enshrined Hanul, pursued the fundamental equality of human beings. His ideas led to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the March 1st Independence Movement, the June 10th Independence Movement, the Shinkankai Movement, and the Prayer Movement for the Destruction of Japanese Imperialism. After liberation, it was realized as the March 1st Movement to stop the division. Donghak’s philosophy of life provides a solution to contemporary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problems. It is meaningful to sort out the deeds of such a person. Until now, research on Suun’s historical sites has been carried out at the level of the Cheondo Church and academia. At the denominational level, they wanted to organize the historical relics of the founder, Suun, and thereby contribut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faith of the Cheondo Church. In the 1920s, Kim Ki-jeon, Lee Don-hwa, and Park Rae-hong played a leading role, and after liberation, Pyo Young-sam and Sung Joo-hyun contributed to the cleanup of Suun’s historical sites. In academia, there was a compilation of the historical sites of Donghak centered on the Donghak research group, Chae Kil-soon’s historical summary of Donghak, and a historical survey of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centered on the university research institute. In particular, the Donghak Society is organizing the historical sites of Donghak and the Donghak Peasant Revolution in each region through the ‘Glocalization of Donghak’ project. The historical site of Soun is divided into three periods of his life. The first period was the period of birth and salvation (1824.10.28.~1860.4.4.), the second period was the founding and propagation period(1860.4.5.~1863.12.9.), and the third period was the period of passion and purity(1863.12.10.~1864.3.10.). It was separated by. The historical sites of the first period include ‘Gamri-ri’, the birthplace, ‘Yeosibawigol’ where the first religious experience was held, ‘Naewonsa Temple’ and ‘Jeokmyeol Cave’, which were places of prayer before the founding of Donghak, and ‘Yongdamjeong’, the site of the founding of Donghak, ‘Eunjeokam’, where the scriptures were written, and ‘Maegok-dong’, where the theme of hostility was practiced. The historical sites of the 3rd phase include ‘Gyeongsang Gamyeong’ where he was imprisoned, ‘Daegu Jangdae’ where he was executed, ‘Huyeonjeom’ where he had a mystical experience after his death, and ‘Taemyo’ which is the tomb of Soun. Based on this study, it is hoped that research on the people and historical sites of Donghak will continu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