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71 (2024)
pp.5~41
DOI : 10.46639/kjds.2024.71.1
『무체법경』의 특징과 의미
본고는 『무체법경』의 텍스트로서의 특징과 의미를 밝혀보려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자료에 대한 철저한 읽기를 진행하여 텍스트가 형식적 특징으로 단계적 구성을 취하면서 각 부분이 대응의 관계를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한다. 경전은 내용의 차원에서 마음이 깨달음에 이르는 것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설명하고 이런 경지가 사회 등과 어떻게 연결되어 개인이 열반에 들고 극락에 이르는지 설명한다. 이 경전은 인간의 마음이 어떠해야 진정한 깨달음에 도달하고 그런 경지는 어떤 상태인지를 자세하게 제시하는 것으로 이루어져 있다. 본고는 작품 자체의 분석에서 나아가 경전의 창작자인 손병희가 동학의 사상적 흐름에서 최제우와 최시형의 사상을 기본적으로 계승하고 변화시키려 의도를 경전에 투영하고 있다고 본다. 손병희는 1905년 동학을 천도교로 개칭해 놓고 종교적 기반을 다지는 작업으로 5년이 지난 1910년에 『무체법경』을 저술하는데 경전의 창작은 동학의 사상을 천도교로 이어받아 심화시키고 천도교로의 개칭에 걸맞은 이론적 기반을 제공하려는 의도를 경전이 떠맡아 주었으면 하는 의미를 실현하고자 하는 작업으로 본다. 이런 점에서 경전에 동학의 기본적인 관점이 서술의 틀로 작용하고 있음도 확인된다. 곧 경전에는 인간의 마음에 주목하지만, 그것에 머물지 않고 이런 마음으로 사회가 어떻게 변화되고 있는지를 기본적으로 담고 있다.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Muchebeobgyeong(무체법경)』
This paper aims to elucidat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text of the Incorporeal Sutra. To this end, we conducted a thorough reading of the materials to confirm that the text adopts a step-by-step structure with formal characteristics and that each part forms a corresponding relationship. In terms of content, the sutra explains what it means for the mind to reach enlightenment and how this state is connected to society and other things, and how individuals reach nirvana and paradise. This sutra consists of presenting in detail what kind of human mind must be to reach true enlightenment and what kind of state such a state is. This paper goes beyond the analysis of the work itself and considers that the creator of the sutra, Son Byeonghui, intended to fundamentally inherit and change the ideas of Choi Je-u and Choi Si-hyeong in the ideological flow of Donghak and projected them into the sutra. In 1905, Son Byeong-hui changed the name of Donghak to Cheondogyo and, five years later in 1910, wrote the 『Mutchebeopgyeong』 to lay a religious foundation. The creation of the scriptures is seen as a task to realize the meaning of the scriptures taking on the intention of deepening the ideology of Donghak by inheriting it into Cheondogyo and providing a theoretical foundation appropriate for the change of name to Cheondogyo. In this respect,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basic viewpoint of Donghak serves as a narrative framework in the scriptures. In other words, the scriptures focus on the human mind, but they do not stop there; they fundamentally contain how society is changing with this mi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