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62 (2022)
pp.113~158

DOI : 10.46639/kjds.2022.62.4

3·1운동에서 의암 손병희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

성강현

(동의대학교 역사인문교양학부 교수)

일제강점기 동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의 손병희에 대한 평가는 대체로 ‘민족의 영웅’, ‘조선 독립의 거인’ 등으로 높이 평가하고 있었다. 해방을 맞아 귀국한 김구를 비롯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간부들은 의암을 ‘독립운동의 근원지’라고 평가하였다. 이는 엄혹한 시절인 일제강점기에 누구도 나서기를 주저하던 상황에 맨 앞에서 조국의 독립을 이끌었던 그의 업적이 얼마나 위대한지를 자신의 눈으로 목격했기 때문이었다. 그러나 해방 후 3·1운동을 주도한 손병희에 대한 평가는 시간이 지날수록 나빠졌다. 1950년대에는 같이 독립운동을 하던 인물들이 생존했기에 그는 3·1운동의 영도자로 인정받았다. 그 결과 1950년대 말 그의 기념사업회가 발족해 1960년대 묘비 건립, 탑골공원의 동상 제막. 일대기 출간 등의 성과를 내었다. 당시는 그를 민족의 지도자로 인정하는 분위기였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유신정권 시기 민중투쟁의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손병희의 활동은 독립운동사에서의 평가절하되었다. 이들은 손병희 대신 유관순을 3·1운동의 중심인물로 추켜세웠는데 여기에는 민중투쟁론자들의 종교적 성향도 관련이 있었다. 1990년대 들어 손병희에 관한 부정적 측면은 강조되었다. 이후 민중사의 관점에서의 3·1운동 연구를 통해 상대적으로 손병희와 3·1운동 민족대표의 역할도 평가절하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는 2006년의 민족문화상징의 독립운동 인물 선정에서 손병희가 배제되었고, 2019년의 3·1운동 100주년 여론조사에서는 단 한 명도 3·1운동을 대표하는 인물이나 이미지로 그를 답하지 않았다. 우리가 역사를 연구하는 목적은 과거의 역사적 사실을 “본래 있는 그대로” 발견하는 데 있다. 역사가가 현재의 관점을 지나치게 중시하면 과거의 역사적 사실이 변형된다. 따라서 역사적 사실을 현재적 관점이 아닌 있는 그대로의 과거의 사실로 복원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따라서 당대인들의 손병희에 대한 평가를 살피는 것이 그의 3·1운동에서의 업적을 재조명하는 출발점이다. 손병희와 같은 시대를 살았던 한용운, 김성수, 장도빈, 현상윤 등의 손병희에 대한 평가는 조선독립의 영웅이었다. 『개벽』지에서는 그를 “민족의 빛”이라고 하였다. 일제강점기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손병희는 최대의 민족운동가로 손꼽혔다. 그러나 1970년대 후반 민중투쟁론자에 의해 손병희의 민중적 이미지가 훼손되었다. 손병희에 대한 3·1운동에서의 역할에 관한 재조명은 그와 동시대를 살았던 인물들의 평가로부터 출발해야 한다. 일제강점기 민중을 대표하는 독립운동가로 평가받던 손병희가 아이러니하게도 민중투쟁론자들에 의해 도외시되고 있다는 점이다. 손병희에 대한 재조명은 3·1운동의 정당한 평가와 아울러 우리 독립운동사를 바로잡는 중요한 작업이다.

A Re-examined role of Uiam Son Byung-hee in the 3·1 Movement

Kanghyeon Sung

The evaluation of the characters who lived in the same age as Son Byung-hee was generally highly regarded as ‘the hero of the nation’ and ‘the giant of independence of Korea’. Kim Gu, who returned home after liberation, and other executiv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visited the mausoleum of Uiam and evaluated it as the source of the independence movement. The characters who had a rough time with Son Byung-hee praised his accomplishments. This was because he witnessed with his own eyes how great his accomplishments, which led the independence of his country at the forefront, were hesitant to come to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which was a severe period. However, the evaluation of Son Byung-hee, who led the 3.1 Movement after liberation, deteriorated over time. In the 1950s, the people who were doing the independence movement survived, so he was recognized as the leader of the 3.1 Movement. As a result, his commemorative business association was established in the late 1950s, and it was successful in the construction of tombstones in the 1960s, the unveiling of statues of Topgol Park, and the publication of biography. At that time, he was recognized as a leader of the nation, but in the social atmosphere of the popular struggle during the Yushin regime in the late 1970s, Son Byeong-hee was devalued. Instead of Son Byung-hee, they tried to make Yu Gwan-soon the central figure of the 3.1 movement, which also related the religious tendencies of the people’s strugglers. In the 1990s, the negative aspect of Son Byung-hee was emphasized, and the role of Son Byung-hee and the national representative of the 3.1 Movement was also devalued relatively through the study of the 3.1 Movemen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people’s history. This social atmosphere was excluded from the selection of independence movement figures in the 2006 national cultural symbol, and in the 100th anniversary poll of the 3.1 Movement in 2019, no single person answered him with the person or image representing the 3.1 Movement. The purpose of our study of history is to discover the historical facts of the past “as they are”. When a historian distorts historical facts from his point of view, he is only trying to use history for his own purposes. Therefore, examining the evaluation of Son Byung-hui of his time is the starting point of re-illuminating his achievements in the 3.1 Movement. The evaluation of Son Byeong-hee, such as Han Yong-woon, Kim Seong-su, Jang Do-bin, and Hyun Sang-yun, who lived in the same era as Son Byeong-hee was a hero of Joseon’s independence. In the paper of ‘Gaebyeok’, he was called “the light of the nation.“ From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o the early 1970s, Son Byung-hee was considered the greatest national activist. However, in the late 1970s, the popular image of Son Byung-hee was damaged by the people’s struggle theorists. A re-examination of Son Byeong-hee’s role in the 3.1 Movement should start from the evaluation of those who lived at the same time. It is ironic that Son Byung-hee, who was evaluated as an independence activist representing the people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s ironically neglected by the people’s struggle theorists. Re-illuminating Son Byung-hee is an important work to correct the history of our independence movement as well as a fair evaluation of the 3.1 Movement.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