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59 (2021)
pp.79~109

DOI : 10.46639/kjds.2021.59.3

서울 천도교 중앙대교당(天道敎中央大敎堂)의 건축 형태적 의미

우수영

(경북대학교 교육혁신본부 교양교육센터 강사)

이 연구의 목적은 건립 100주년을 맞이한 서울 소재 천도교 중앙대교당(天道敎中央大敎堂, 이하 중앙대교당)의 건립 당시 상황 및 건축의 형태적 의미를 고찰하는 것이다. 동학과 천도교 현실 자료를 발굴하고 정리하는 작업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향후 한국 자생 종교이자 문화인 동학의 공간 콘텐츠 과업에 기여할 것이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중앙대교당의 건립 사업은 천도교가 유사종교에서 벗어나 보편 종교의 지위를 확보하고자 한 손병희와 교인들의 노력에서부터 출발한다. 그리고 1921년 서울 경운동에 천도교 중앙대교당이 완공되었다. 일본인 건축가 나카무라는 다양한 역사적 건축 양식과 문화적 요소를 절충하여 중앙대교당을 설계하였고, 교인들은 중앙대교당 내부 공간에 궁을장을 새겨 동학 정신을 공간적으로 구현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자생 종교 공간 서울 소재 천도교 중앙대교당의 건축 형태적 의미에 대한 구체적 논의를 진행하였다. 둘째, 중앙대교당에 차용된 건축형태의 수직적 요소와 수평적 요소는 신의 권능과 인간의 지성을 의미한다. 이는 천도교의 전신 동학의 정신인 시천주의 의미와 상통한다. 셋째, 한국 종교건축에서 간과된 한국 자생 종교 공간의 정체성 연구 단초를 마련하였다.

The Architectural Morphological Meaning of Cheondogyo Jungangdaegyodang(天道敎中央大敎堂) in Seoul

Sooyoung W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nstruction situation and architectural morphological significance of Cheondogyo Jungangdaegyodang (天道敎 中央大敎堂) in Seoul, which celebrated its 100th anniversary. It is important to discover and organize the real data of Donghak(東學) and Cheondogyo(天道敎).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spatial content task of Donghak(東學), which is a native religion and culture of Korea in the futu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construction of Cheondogyo Jungangdaegyodang (天道敎 中央大敎堂) was to secure the status of a universal religion for Donghak to break away from similar religions. It starts from the efforts of Son Byung-hee(孫秉熙) and Donghak(東學) believers(敎人). And in 1921, Cheondogyo Jungangdaegyodang(天道敎 中央大敎堂) was completed in Gyeongun-dong, Seoul. Japanese architect Nakamura(中村輿資平) designed Cheondogyo Jungangdaegyodang(天道敎中央大敎堂) by combining various historical architectural styles and cultural elements. Donghak(東學) believers(敎人) embodied the spirit of Donghak by engraving Gungeuljang(弓乙章) in the inner space of Cheondogyo Jungangdaegyodang(天道敎 中央大敎堂).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detailed discussion was conducted on the architectural morphological meaning of the Cheondogyo Jungangdaegyodang(天道敎 中央大敎堂) in Seoul, a native religious space in Korea. Second, the vertical and horizontal elements of the front seen from the Cheondogyo Jungangdaegyodang(天道敎中央大敎堂) signify the power of God and human intelligence. This is in line with the meaning of Sicheonju(侍天主), the spirit of Donghak(東學). Third, this study paved the basis for discussions on the space of Korean indigenous religions overlooked in Korean religious architecture.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