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58 (2021)
pp.269~291

DOI : 10.46639/kjds.2021.58.8

박경리 『토지』와 조정래 『아리랑』에 등장하는 민중연대

우수영

(경북대학교 국어국문학과 강사)

이 연구의 목적은 박경리의 『토지』와 조정래의 『아리랑』에 등장하는 민중연대의 고찰을 통해 동학의 함의를 파악하는 데 있다. 먼저 본 글에서는 민중의 본성을 ‘생명성’으로 규정하였다. 생명 파괴로부터 가장 구체적이고 직접적인 피해를 받는 자가 ‘민중’인 것이며 생명의 실상을 집단적이고 적극적으로 인식ㆍ실천하는 자가 ‘민중’이다. 단지 신분적인 측면에서의 민중, 경제적인 측면에서의 민중의 의미와는 차별적인 생명성에 바탕을 두고, 두 작품에서의 민중연대의 양상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토지』에서는 윤보, 관수, 김환과 같은 실질적인 동학을 지휘하는 민중들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와 맞선 편에는 최치수, 조준구 같은 반민중적인 세력들이 등장하고 있었다. 이러한 이분구도를 통합하는 인물로는 최서희에서 김서희로 존재 이동한 ‘서희’가 존재하고 있다. 그는 동학 잔당과 조선 젊은이의 생명성을 담보하는 민중연대에 동참하고 있으며 동학은 전조선적 생명 운동으로 나아가게 된다. 마침내 대립적 상황은 최서희 같은 인물의 동참으로 통합의 길로 나아가고 해방의 감격을 보게 된다. 여기서 동학은 조선의 민중이 생명성을 실현하는 지점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아리랑』의 송수익은 의병에서 독립군으로 또 대종교인으로 변신을 거듭하는 인물이다. 더불어 조선을 떠나 하와이로 갔지만 조선인임을 잊지 않고 있는 방영근, 반생명성에 항거하는 지삼출 등이 등장한다. 이들과 맞선 편에는 민중의 생명성을 파괴하는 장덕풍 등으로 대표되는 일본인 지지 연대가 자리하고 있다. 이러한 이분구도의 한 축은 사회주의로 경도되는 비껴가기로 전환된다. 여기서 동학은 민중 삶의 전사에 기여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토지』와 『아리랑』 두 서사에서 동학이라는 사건은 민중연대의 시발점에 공통적으로 위치한다. 『토지』의 서사에서는는 민중연대가 양적인 확장으로 나아가는 면모가 드러난다. 반면 『아리랑』의 서사에서는 민중연대가 질적인 전환으로 나아가는 모습이 파악된다. 『토지』와 『아리랑』의 서사에서는 ‘동학’이라는 사건을 통해 민중연대의 확장과 전환이 실현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A Study on the People Solidarity in Park Kyeung-lee's 『Toji』and Jo Jeong-rae's 『Arirang』

Sooyoung Wo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mplication of Dong-hak by considering People Solidarity which can be seen in Park Kyeung-lee’s 『Toji』 and Jo -Jeong-rae’s 『Arirang』. First of all, present article prescribes public’s nature of human as life temper. Thus, public is not only the most specifically and directly being damaged by life destruction of life temper but also is most collective and actively perceiving, practicing their life temper. Setting base public’s life temper discriminatively apart from public’s status perspective and ecnomical perspective, present article analyzed aspect of people solidarity in above two novel.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 First. In『Toji,』 there are characters that in quality commanding Dong-hak like Yoon-bo, Gwan-soo, Kim-hwan who stand for public. Also, there are characters who stand for the opposite side of public like Choi Chee-soo and Jo Joon-goo. Integration of this dichotomicous stiuation was achieved by ‘Seo-Hee’ who had character-shift from ‘Choi Seo-Hee’ into ‘Kim Seo-Hee’. This man ‘Seo-Hee’ is participated in People Solidarity which guarantees life temper of Dong-hak remnants and youths of Joseon and Dong-hak has become the life temper-guarantee campaign throughout the country. Eventually, a confrontational situation had been solved by ‘Seo-Hee’ and all public got to taste the sweetness of independent. This shows that Dong-hak played a vital role in bringing public of Joseon to life temper. Second, in 『Arirang』, there is a character ‘Song Soo-ik who had transformed himself three times, as vigilante to Independence-Armyforce, and to a believer. In addition, Ji Sam-chool who resist against Bang Dong-geun and Ban Sang-myeong who does not forget to be a Korean while they are living in Hawaii appears. On the other side of them is a Japanese support regiment represented by Jang Deok-pung, who destroys the public's life temper. This dichotomous situations of 『arirang』 have been turned away by socialism. Therefore, this can be interpreted as part of various qualitative changes in People Solidarity. Third. In prologue of both 『Toji』 and 『Arirang』, Dong-hak appears at the point of establishment of People Solidarity. In 『Toji』, it seems that People Solidarity appears to be quantitative expansion. Namely, publics appears in 『Toji』 and 『Arirang』 can be interpreted as they are expanding and trasnfering their Solidarity through expriencing Dong-hak. In the result,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point of practiced the quantitative expansion and qualitative change that joseon publics tried to accomplish in the grand narrative of both 『Toji』 and 『Arirang』, it can be confirmed that revolutionary process is operating from Naeyoosinryung(內有神靈) to Oieyoogihwa(外有氣化).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