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56 (2020)
pp.349~384

DOI : 10.46639/kjds.2020.56.9

방정환 아동문학의 시대적 무의식과 천도교적 함의 - ‘삼손’ 이야기 리메이크를 중심으로 -

김영진

(경희대학교 후마니타스 칼리지 교수)

이 연구의 목적은 조선일보에 발표한 소파의 리메이크 동화를 통해 식민지 조선이라는 시대적 무의식을 발견하는 데 있다. 소파는 성경의 ‘삼손’을 조국을 위해 장렬히 전사한 ‘눈먼 용사 삼손’으로 그려낸 바 있다. 그런데 다시 리메이크하여 ‘용사 삼손’의 민족적 색채를 지우고 개인적인 고통에 분노하다가 죽어간 「삼손」을 재발표한다. 이 일은 하나의 사건으로 식민지 조선이라는 시대적 무의식과 연결할 수 있는 질문을 던질 수 있다. 이 질문의 답은 상호텍스트성에 따라 원천텍스트가 되는 성경의 ‘삼손’과 소파의 ‘눈먼 용사 삼손 이야기’를 분석한 다음, 조선일보의 「삼손」이 객관적 이야기 전달을 추구한 이유를 시대적 맥락에서 찾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내용은, 첫째, 신앙심이나 신학적으로밖에 설득할 수 없는 성경의 ‘삼손’을 민족적 영웅으로 부활시킨 소파의 「눈먼 용사 삼손」을 비교 분석하였다. 작가는 원천텍스트의 불확정성 영역을 구체화하는 문학적 운용을 통해 용사 ‘삼손’을 민족적 영웅으로 재창조해냈다. 둘째, 앞선 작품에서 이룩한 서사문학의 미적 가치를 포기한 조선일보의 「삼손」을 스토리텔링으로 분석했다. 이유는 ‘줄거리 요약사건’을 발생시킨 지점에서 식민지 조선이라는 시대적 무의식을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작가가 성경의 ‘삼손’ 이야기를 객관적으로 전달하듯 줄거리 요약사건을 발생시킨 것은 일제의 삼엄한 검열을 피하기 위해서였다. 당시 방정환과 천도교는 일제의 특별 감시를 받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 연구의 결과는, 소파는 1920년대라는 특정한 시대의 한복판에서 아동문학을 제작하고 보급하는 데 앞장선 아동문학가이자 천도교 교인이었다. 그가 아이들을 가정과 학교와는 다른 방식으로 지도하고자 했던 배경에는 천도교가 있었다. 당시 천도교는 일제 탄압을 받던 조선의 현실에서 조선의 역사와 조선 위인의 이야기를 들려주는 예술교육을 통해 소년들의 민족·독립의식을 고취하고자 힘썼다. 조선 사람에게 조선 공부란 밥과 같다는 동학사상이 예술을 통해 아이들에게 심미적 감성을 심어주려 했던 소파의 아동교육 사상이다. 소파가 식민지 조선의 상황에서 새로운 시대를 이끌어가야 할 어린 주역들에게 요구되는 비판적 사고보다는 감성이 풍부한 공동체적 지향이 강한 서사를 양산한 이유가 그것이다.

Junghwan Bang’s the Unconsciousness of the Times in Children’s Literature and the Implications of Cheondogyo - Focused on a Remake of the “Samson” Story

Youngjin Ki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unconsciousness of the times of colonial Joseon through a remake of Sofa published in the Chosun Ilbo. Sofa once portrayed “Samson” in the Bible as a blind warrior who died heroically for his country. The remake, however, erases the national color of Samson and republishes him die out of anger at personal pain. This incident can be an event linked to the unconsciousness of the times of colonial Joseon. The answer to this question was to analyze the “Samson” of the Bible and the “Samson Story of a Blind Soldier” of Sofa, which are the source text according to their intertextual nature, and then to find out why the Chosun Ilbo’s “Samson” pursued objective storytelling in the context of the times. The contents of this study were first compared and analyzed “a blind warrior Samson” of Sofa, which revived the biblical “Samson” as a national hero, which can only be persuaded by faith or theology. The author recreated the warrior “Samson” as a national hero through literary operations embody the uncertainty realm of the source text. Second, the Chosun Ilbo’s “Samson,” which gave up the aesthetic value of narrative literature achieved in its previous works, was analyzed as storytelling. The reason is that the unconsciousness of the times, called colonial Joseon, can be found at the point where the “story summary incident” occurred. Just as the author objectively conveys the Bible’s “Samson” story, it was to avoid the Japanese colonial rule’s strict censorship that caused the plot summary incident. At that time, Jeonghwan Bang and Cheondogyo were under special surveillance by the Japanese.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that Sofa was children’s writer and Cheondogyo believer led the production and dissemin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in the middle of a certain period of the 1920s. The Cheondogyo was behind his attempt to guide children in different ways from home and school. At that time, Cheondogyo tried to promote the sense of national independence of the boys through art education that tells the history of Joseon and the stories of Joseon great men in the reality of Joseon under Japanese oppression. For Joseon people, studying in Joseon is like steamed rice, or children’s education on Sofa, which were intended to instill aesthetic sensibilities in children through art. This is why Sofa has produced a narrative with a strong emotional community rather than critical thinking required by young leaders who are supposed to lead a new era in the situation of colonial Joseon.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