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ISSN: 1598-7566 / eISSN: 2713-3605

동학학보, Vol.56 (2020)
pp.161~223

DOI : 10.46639/kjds.2020.56.5

동학혁명운동 당시 금강 중상류 척왜항전 - 호서동학군 을대의 활약상을 중심으로

이상면

(서울대학교 법과대학 명예교수)

1894(甲午)년 가을 척왜항전에서 전봉준의 호남우도 동학군과 남한강에 기반을 둔 손병희의 호서동학군 갑대가 공주성을 공격하다가 무참히 패한 것은 잘 알려져 있지만, 금강중상류 호서동학군 을대가 청주 진남영에 대적하면서 일본 중로군에 승전을 거듭하며 이루어낸 공적은 모른다. 10월 29일 공주에서 일본 서로군이 연합동학군에 포위되어 위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문의의 중로군 본대가 공주 전장으로 이동해 동학군의 배후를 치려고 하자, 옥천의 호서동학군 을대가 마달령을 넘어 봉계곡에 진입한 중로군 지대를 격파하고 문의와 청주를 치는 등 본대의 후방을 교란해 공주행을 중도에 포기하게 한 것은 역사적 사건이었는데도 여태껏 알려져 있지 않았다. 관련 자료가 부족했고, 그나마 희귀하게 존재하는 자료도 연구가 미흡했던 탓이었다. 조선정부는 공주를 치는 연합동학군을 주시해, 호서동학군 을대의 협력된 전투에 관심이 적어 기록을 남긴 것이 별로 없었다. 을대 동학군 지도자들은 전란 중 자료를 남기지 않았고, 전란 후에도 호된 탄압에 다들 숨어버려 기록이 거의 없었다. 일제패망과 해방으로 탄압은 끝났지만 80고령의 생존자는 침묵했다. 그들의 명예가 회복된 것은 21세기 초로 참전자들이 타계한지 오래라 후손들도 관심이 없었다. 1980년 대청호 담수로 전투현장인 문의 부근 지명진(芝茗津)과 증약 부근 마달령 입구 봉계곡(鳳溪谷)마저 수몰되어버려, 을대 동학군의 존재조차 잊혀갔다. 지명진과 봉계곡 두 전장이 물에 잠기고 관련 국내 자료조차 없는 가운데, 일본군의 간단한 전투상보에 의존하다보면 전투의 실상과 함의를 가늠하기 어렵게 된다. 당시 일본 지휘관이 쓴 전투상보와 「동학당정토약기(東學黨征討略記)」가 있어 일본 중로군과 부속 관군이 호서동학군 을대와 대청지역에서 대등한 전투를 벌인 사실과 후장총으로 무장한 동학군 별동대의 역할이 상당했던 것이 드러났지만, 정작 국내에는 관련 자료가 거의 없어 연구가 제대로 되기 어려웠다. 공교롭게도 필자는 호중동학군(湖中東學軍) 즉, 호서동학군 을대의 선봉에 서서 전투를 지휘한 별동대장(別動隊長) 이종만(李鍾萬)의 장손으로 생존시 채집한 증언을 비롯해서 가족과 문중에 전래된 일화가 있어, 당시 관군 일본군이 남긴 자료와 함께 종합적으로 연구해왔다. 그런 증언과 고사는 필자의 기억과 메모로 존재하는 것으로 대부분 미세하고 희미한 것이지만 동학군 측 자료가 거의 없는 가운데 그런 유산이나마 있었기에, 기존의 자료에서 직접 드러내지 않는 부분을 투시해 파악할 수 있었고, 아무도 모르는 전투현장을 찾아낼 수 있었다. 2020년 6월 26일 옥천군 청산면에서 열린 동학학회 기조강연에 즈음하여 대청호에 수몰된 두 전투 현장을 거듭 답사하고, 지역유지들과 고증을 거쳐, 하마터면 사라질 뻔한 동학전란의 귀중한 부분을 그나마 재현해 보았다. 그 작업은 마치 옛적 부서진 토기 파견을 주어모아 원형을 복원하는 것 같이 어려운 일이었다. 사료 부족으로 인해 불가불 전후관계와 제반사정을 고려하여 추정을 할 수 밖에 없는 점이 있어 안타까웠으나 향후 자료 발굴과 논의로 보완할 수 있기 바란다.

Anti-Japanese War in the Basin of the Upper Middle Geum during the Donghak Revolutionary Movement in 1894 : with Emphasis upon the Role of the 2nd Corps of the North Donghak Army

Sangmyon Rhee

It has been known that during the 1894 Anti-Japanese War, the United Army of the North South Donghak, attacking the natural castle Gongju the Provincial Capital, was brutally defeated by the Japanese invaders along with the puppet Korean Royal Army. However, the contribution by the 2nd Corps of the North Donghak Army, who led series of victorious battles against the Japanese in the upper middle basin of the Geum River(錦江), has not been properly appraised. The 2nd Corps, commanded by Rhee Jong-man(李鍾萬) on 29th of the 10th month in lunar calendar, stopped Minami(南小四郞)’s Japanese army heading to Gongju(公州) by attacking Cheongju(淸州) in their rear, right after defeating the Japanese branch in the Bonggye(鳳溪) passage. The 2nd Corps could win due to the leadership of Rhee who commanded the Detached Forces(別動隊) equipped with the same breechloading rifles that the Japanese used. He successfully lured the enemy into the wedged passage for a besiege, and drove them away to hills at Jimyeong(芝茗) on the southern bank of the Geum in the north. Minami(南) the field chief had to give up the march to Gongju at the report by the defeated field officer that they could not stop the 2nd Corps getting across the Geum to attack Jinnamyeong(鎭南營) the stronghold in Cheongju. The then Korean court left many documents over the United Army of Donghak attacking Gongju, but they left scantily on the role of the 2nd Corps. The surviving Donghak leaders virtually did not leave any memoir, due to the ensuing surveillance till the end of WWII. Scanty surviving insurgents chose to keep silent. It was in the early 21st century that the Korean government restored their fame as patriotic combatants as well as honorary revolutionaries. In 1980 the battle fields in the basin of the Geum were submerged in the Daecheongho(大淸湖). Over the decades researchers depended upon the two simple combat reports left by the Japanese field officers. A memoir of the then commanding officer Minami(南) became available to Koreans later, but it was still one sided. Fortunately the present writer happens to be the grand son of General Rhee Jong-man the field commander who conducted 2nd Corps in the battles. He tried to write the real stories through the synthetic analysis of the materials and the testimonies of his grand father et al over the battles.

Download PDF list




[17104]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덕영대로 1732, 멀티미디어교육관 801호     TEL : 031-201-3445      E-mail : donghaks1998@daum.net     [개인정보보호정책]
Copyright © The Donghak Society. All rights reserved.